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음식에 관한 전반적인 고찰

by Preciosa_Alicia 2023. 1. 31.
반응형

1. 음식의 정의

음식이라는 것은 사람이 마시고 먹는 것을 통틀어 말하는 식생활 용어입니다. 한자로는 '마실 음'에 '먹을 식'을 씁니다. 먹을 수 있는 것 자체의 의미를 가진 식량이라는 단어와는 포괄하는 범위가 다릅니다. 과거부터 생존과 직결되기 때문에 중요하게 생각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흔히 우리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 꼭 필요한 3요소인 '의, 식, 주' 중 하나로 꼽힙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동아시아 동부 쪽에 돌출한 반도이기 때문에 사계절이 뚜렷하게 구분되고 지역별로 기후의 차이가 있어 식품 자원이 지역마다 다양하게 생산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지역별로 특색을 살린 음식들이 골고루 발달하였습니다. 조선시대만 하더라도 궁중음식이나 일반 서민 음식 및 지역에 따른 향토 음식이 각각 잘 발달하였습니다. 또한 음식의 구성이 맛의 조화로움과 함께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발전되어 오고 있습니다.

 

2. 음식의 시대적 변화

멀리 거슬러 올라가 구석기 시대에는 딱히 다룰만한 자료가 없고 후기 구석기 시대에 타제석기로 자연물을 채취하여 음식을 만들었다는 사실 정도만 알 수 있습니다. 석기를 곱게 간 마제석기나 흙을 빚어 구운 토기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신석기시대 초반에는 수렵과 어업으로 생활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남해안이나 서해안 중부 등 해안지방들에서 많은 조개무지가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어업에 좀 더 의존했던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리고 신석기시대 후기에 이르면 우리 음식문화 형성의 발단 시기라 볼 수 있는 곡물 생산이 시작됩니다.

시간이 흘러 고대 시대로 들어오면 철제농구가 어느 정도 보급된 상태로 벼농사를 비롯한 농경이 활발히 이루어져 식생활이 다양해지고 이에 따라 조리법도 발달하게 됩니다. 선사시대에 흙을 빚어 구운 토기에서 소형 용기로 발전됨에 따라 개인 식기의 형태로 발전하며 국가 간의 식품 교류도 이루어지는 등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이후 삼국시대로 넘어오면 벼농사의 정착이 음식문화에 안정을 가져다주게 되고 국가의 형성과 함께 계층화된 신분제도가 음식의 섭취와 생활에 있어 귀족과 서민의 차이를 만들게 됩니다. 그리고 명절 등의 행사와 제천의식 등을 통해 식생활의 폭이 다양화됩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농경의 발달과 함께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져 한국 음식의 체제가 정착된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삼국의 음식문화를 수용해 새로운 식생활의 형태를 완성해 나갔습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는 불교적 분위기와 관료적 제도의 발달이 식생활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불교의 가르침에 따라 주로 채식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육식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특히 고려시대에는 국수, 떡 등 곡물로 된 별식이 현대와 거의 비슷하게 조리되었으며 콩나물, 두부와 같은 식품도 개발되었습니다. 밥과 국이 함께 있는 기본적인 상차림의 구조가 정착된 것도 이때부터라고 합니다. 또한 소금의 영향을 받아 식생활의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고 고려청자기의 발달이 식생활을 문화적으로도 높여주었습니다. 

이제 조선시대로 올라와 살펴보겠습니다. 조선은 유교적 정치윤리가 강조되던 시기로 제사, 가족제도에 따른 식생활이 아주 중요시되던 시대였습니다. 외래식품이 널리 보급되었고 '중인'이라는 계급이 나타나 상하층의 식생활 교류가 커지게 되었습니다. 조선시대는 한식이 완성되는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개화기에는 서양화의 물결로 인해 서양 음식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하지만 일본의 세력이 확대되고 식민지로 그들의 지배를 받을 때는 생활의 핍박과 함께 서민들의 식생활 궁핍이 심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19세기 말기에 서구식 영양 이론과 서양 음식이 한국에 퍼지게 됩니다. 광복 직후에는 최악의 극빈 상태에서 한국전쟁 발발로 굶주림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졌습니다. 그래서 국가적으로 서구에서 원조물자를 얻고, 분식 장려, 보리 혼식 등을 내세워 식량난을 해결하려고 했습니다. 1960년대에 오면 식량난뿐만 아니라 국민의 영양에도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다만 이때에는 무조건적인 서구의 식습관을 받아들여 문제점을 야기시켰다고 합니다. 공업화가 이루어진 1970년대에는 즉석식품이 식생활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는 등 식생활도 산업화, 공업화되었습니다. 이후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로 오면 지방질의 과잉섭취, 동물성 식품 소비 과다 등으로 성인병 발병률이 증가하면서 서구식 식습관에 대해 되돌아봐야 한다는 인식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와 함께 가공식품 해독 논란도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건강식품이나 자연식품 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고 보다 더 합리적인 식생활을 추구하는 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3.음식에 대한 고찰 마무리

음식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와 시대적 변화를 한국의 역사 흐름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이 밖에도 음식에 대한 많은 정보가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이쯤에서 마무리하고 앞으로 하나씩 나누어 글을 써서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